연혁
2007. 08. 인제대학교 부설 인문의학연구소 설립.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의학교실 주임교수 강신익, 초대 연구소장 취임.
2007. 11. 한국학술진흥재단 주관 ‘2007인문한국사업’에 지원하여 ‘HK유망연구소’로 선정.
상지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교수 최종덕, 공동연구원 선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의학교실 석사과정 김택중, 연구원 선임.
2008. 01. 홍소연 박사, 전임연구원 선임.
2008. 02. 제1회 집중 세미나 개최.
- 주제: 의학의 영원한 화두, 건강
- 장소: 강원도 원주시 토지문화관
- 한국의철학회(韓國醫哲學會)와 공동 주관
2008. 03. 호서대학교 인문·예술학부 연구교수 김시천, 공동연구원 선임.
김문정 박사, 전임연구원 선임.
2008. 05. 제1차 콜로키엄 개최
- 주제: 신경과학의 철학과 의학적 인간학
- 장소: 인제대학교 인당관 7층 세미나실 (본관 701호)
- 연자: 최종덕 (상지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교수, 인문의학연구소 공동연구원)
2008. 06. 인문의학연구소가 엮은 <인문의학: 인문의 창으로 본 건강>을 휴머니스트 출판사에서 출간.
2008. 07. 강신익, 최종덕, 김시천이 공동 편자로 엮은 ‘하이브리드 지식 시리즈’ 전4권을 웅진지식하우스 출판사에서 출간.
- 1권: <철학으로 과학하라>. 최종덕, 김시천 공편.
- 2권: <생명, 인간의 경계를 묻다>. 강신익, 김시천 공편.
- 3권: <예술, 인문학과 통하다>. 조광제, 김시천 공편.
- 4권: <문화, 세상을 콜라주하다>. 김시천 편.
2008. 07. 제2차 콜로키엄 개최
- 주제: 중국과 인도의 의료시스템에 관한 연구 (Modern Health Systems, Indigenous Science and Equality:
Lessons from India and China)
- 장소: 서울 고전아카데미
- 연자: Devin K. Joshi (Assistant Professor, Josef Korbel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University of Denver)
- 한국의철학회(韓國醫哲學會)와 공동 주관
2008. 09. 제3차 콜로키엄 개최
- 주제 : 주자학의 사회, 정치적 성립배경
- 장소 : 서울 고전아카데미
- 연자 : 민병희(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HK연구원)
- 한국의철학회(韓國醫哲學會)와 공동 주관
2008. 09. 제2회 집중세미나 개최
- 주제 : 삶 속의 고통, 고통 속의 삶
- 장소 : 서울백병원 별관 인당관 9층 인당홀
- 한국의철학회(韓國醫哲學會)와 공동 주관
2008. 11. 제4회 콜로키엄: 진화적 변화, 그리고 진보:이보디보의 관점
2008. 12. <인문의학 2권: 고통! 사람과 세상을 만나다> 출간
2009. 03. 제5회 콜로키움: 전문직 직업윤리 보편성과 의료전문직의 특수성
2009. 03. 제6회 콜로키움: 한국의료현안의 이해
2009. 03. 제7회 콜로키움: 행정가의 입장에서 바라본 Medical professionalism
2009. 03. 제8회 콜로키움: 대중과 소통하는 의사
세미나 : 프쉬케와 소마
2009. 04. 학술대회 : 몸의 생태학, 오늘의 한국에서 어떻게 볼 것인가?
2009. 04. 학술대회 : 의(醫)와 생태
2009. 04. 세미나 : 몸이라는 시공간의 진화
2009. 05. 제9회 콜로키움 : 기(氣)철학에서 본 몸과 마음
2009. 05. 세미나 : 조선시대 장부와 해부에 관한 담론
2009. 09. 세미나 : 제신(帝身)에서 인체(人體)로
2009. 10. 제10회 콜로키움: Integrating Humanities into Medical Education (H.M.Evans, UK)
2009. 11. 학술대회 : 인문의학연구소-한국도교문화학회 공동학술대회 개최
2009. 12. 제11회 콜로키움: 易緯의 太易虛無에 관하여
2010. 01. 제12회 콜로키움: 우리에게 학문의 미래는 있는가?
2010. 02. 제13회 콜로키움: 체화된 마음(Embodied Mind) 논의와 인문의학
2010. 03. 제14회 콜로키움: 역사 속의 의사와 국가
2010. 03. 제15회 콜로키움: 서양 근대 이후의 의사의 정체성
2010. 03. 제16회 콜로키움: 일제하 의사계층의 성장과 정체성 형성
2010. 03. 제17회 콜로키움: 한국 의료윤리의 역사적 고찰
2010. 03. 제18회 콜로키움: 장기려, 전종휘, 이태석
2010. 05. 제19회 콜로키움: 몸으로 하는 일, 살려고 하는 일: 제주해녀의 몸에 얽힌 담화들
2010. 05. 세미나: “한국인의 생로병사, 남과 북의 과거와 현재”
2010. 05. 학술대회: 한국인의 생로병사:과거·현재·미래
2010. 10. 학술대회: 몸, 희노애락에 살다
2010. 10. <인문의학 3권: 21세기 한국 사회와 몸의 생태학>출간
2011.04 제20회 콜로키움 : 한국 고대 제의와 치유
2011.05 제21회 콜로키움 : 문학이 들려주는 환자와 의사 이야기
2011.05 인문의학연구소-(재)민족의학연구원 공동학술대회 개최
2011.05 인문의학연구소-한국의철학회 공동학술대회 개최
2011.08 제22회 콜롬키움 : 맹자철학과 동양의학전통
2011.09 제23회 콜로키움 : 한국인의 문화적 특성
2011.09 제24회 콜로키움 : 고령화 시대의 인문학
2011.11 인문의학연구소 가을 전국 학술대회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