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치성 유방암에서 새로운 전이 활성 조절물질 규명, 향후 항암 및 병용항암제 개발에 기여 기대

게시글 보기 - 번호, 작성자, 연락처, 분류, 신청일, 처리현황 항목으로 구성된 표
번호 24277 분류 알림 작성일 2024-11-04
조회수 311 작성자 백지희 마감일 2024-11-30
첨부파일

FNCT 바이오텍과 인제의대 이주미 박사 연구팀은 ICAM-1이 삼중음성 유방암에서 EGFR 활성화의 조절자로 작용하며, ICAM-1 중화항체 치료가 유방암 전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세계 최초로 규명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연구 결과는 암 생물학 분야 최상위 국제학술지인 '분자 암(Molecular Cancer)'(영향력 지수 27.7)1017일 게재됐다. (논문명: Tumor-intrinsic role of ICAM-1 in driving metastatic progression of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hrough direct interaction with EGFR)

 

유방암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여성에게서 발생하는 암 중에서 발병률과 사망률이 가장 높은 암이다. 유방암은 여성호르몬 수용체(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HER2(사람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의 상태에 따라 분류된다. 예를 들어, 여성호르몬 수용체가 양성이며 HER2가 음성인 경우는 '루미날 A(luminal type A)'으로 불리며, 예후가 좋은 편이다. 반면,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HER2 수용체가 모두 없는 경우를 '삼중음성 유방암'이라고 하는데, 전체 유방암 중 약 15%를 차지한다. 이 유형은 표적 치료가 어려워 예후가 좋지 않으며 전이와 재발 위험이 높다.

 

예후가 나쁜 악성 종양일수록 상피 성장 인자 수용체(EGFR)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하며, 특히 삼중음성유방암에서 EGFR의 활성도가 두드러지게 상승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EGFR 억제를 통한 암세포의 생존, 증식 및 전이 억제 기전은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항암요법 및 면역치료와의 병용을 통한 치료 효율을 높이는 시도가 있지만, 이러한 접근법이 치료 반응률 및 생존율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어, 삼중음성유방암에 대한 표적치료제 개발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현재까지 표적 치료제 개발의 근간이 되는 분자생물학적 기전 규명이 미흡한 실정이며, 이로 인해 치료제 개발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수재 대표(FNCT 바이오텍)는 이러한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암전이 억제인자 규명에 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해 온 국내 대표 연구자다. 이 연구에서 유방암 환자군의 단백질체 및 전사체 프로파일링 분석을 통해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에서 ICAM-1 단백질의 발현이 특이적으로 상향조절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유방암 환자의 나쁜 예후를 시사하는 새로운 분자적 지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ICAM-1EGFR 직접 제어를 통한 유방암 전이 억제의 새로운 분자 기전을 실험적으로 규명했다. FNCT 바이오텍은 섬유증 및 암을 타겟하는 약물을 개발하는 회사로서, 향후 이러한 결과를 항암제와 항암병용제개발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인제대 의대 이주미 교수는 ” molecular cancer 리뷰 과정중의 시간들이 새삼 새롭게 느껴진다. 리뷰어의 날카로운 질의가 있었고, 이를 설득하기위한 고민의 시간들이 있었다. 그러나 많은 백업 연구결과가 있어 별다른 추가 실험없이 받아들여진 것에 매우 만족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암 발생 과정에서 ICAM-1이 지니는 고유한 새로운 기능을 규명하였으며, 특히 종양 형성에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EGFR의 직접적 조절 기전을 처음으로 입증하였다. 나아가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군에서 ICAM-1 매개 EGFR 제어가 유방암 전이 억제에 현저한 치료 효과를 나타냄을 실험적으로 검증한 연구 결과라고 밝혔다.

 

한국연구재단의 개인기초(중견)연구사업, 원천기술개발사업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바이오 유망기술 글로벌 창업지원(바이오아이코어)과 중소 벤처기업부의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엽(TIPS)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이번 연구의 성과는 국제학술지 'Molecular Cancer’에 게재됐다.

이전글
2024학년도 동계 국내 표준현장실습학기제 학생 신청 안내
다음글
[산업혁신기반구축]_e-Driveline 시스템_11월 단기강좌 수강생 모집 안내